맨위로가기

빌럼 1세 판 오라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럼 1세 판 오라녜는 1533년 독일에서 태어난 네덜란드의 국부로, 네덜란드 독립 전쟁의 지도자였다. 그는 루터교 신앙으로 성장하여 가톨릭 통치에 저항하며 종교의 자유를 옹호했고, 스페인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침묵공'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빌럼 1세는 4번의 결혼을 통해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둘째 아들 마우리츠와 막내 아들 프레데릭 헨드릭이 네덜란드 공화국을 이끌었다. 1584년 암살당했지만, 그의 유산은 네덜란드 국기와 국가, 그리고 왕실 계승으로 이어져 오늘날까지 네덜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반란자 - 고이센
    고이센은 16세기 네덜란드 독립 전쟁 당시 스페인 압제에 저항한 네덜란드 귀족 및 반군 세력으로, '거지'라는 경멸적인 의미로 시작되었으나 저항의 상징이 되었으며, 특히 '바다의 거지들'은 해상에서 스페인에 맞서 싸워 네덜란드 독립에 크게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암살된 정치인 - 핌 포르타윈
    핌 포르타윈은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사회학자, 작가, 칼럼니스트로, 주류 정치 비판과 이민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자신의 정당을 창당한 후 총선 직전 암살당해 네덜란드 정치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네덜란드의 암살된 정치인 - 요한 더빗
    요한 더빗은 네덜란드 공화국을 이끌며 해군력 증강과 삼국 동맹을 통해 프랑스의 팽창을 막으려 했으나,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발발과 정치적 위기로 인해 암살당한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수학자이다.
빌럼 1세 판 오라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아드리안 토마스 키의 초상화, 빌럼 1세
아드리안 토마스 키의 초상화, 1570–1584년경
이름빌럼 1세 판 오라녜
네덜란드어 이름빌럼 더 즈베이허르 (Willem de Zwijger)
라틴어 이름파테르 파트리아에 (Pater Patriae)
네덜란드어 별칭파더르 데스 파더르란츠 (Vader des Vaderlands)
출생일1533년 4월 24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나사우 백국, 딜렌부르크
사망일1584년 7월 10일
사망지네덜란드 공화국, 홀란트 백국, 델프트
소속 가문나사우 가문 출생; 오라녜-나사우 분가의 창시자; 네덜란드 군주국의 조상
아버지나사우-지겐 백작 빌럼 1세
어머니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의 율리아나
서명
통치 정보
공위 계승오라녜 공
통치 시작1544년 7월 15일
통치 종료1584년 7월 10일
이전 통치자르네 드 샬롱
다음 통치자필립 빌럼 판 오라녜
공직 정보
프리슬란트의 총독재임 시작: 1580년
재임 종료: 1584년
이전 총독: 조르게 데 랄랭
다음 총독: 빌럼 루이스 판 나사우-딜렌부르흐
홀란트와 제일란트의 총독재임 시작: 1572년
재임 종료: 1584년
이전 총독: 막시밀리앙 드 에냉-리에타르
다음 총독: 마우리츠 판 나사우
위트레흐트의 총독재임 시작: 1572년
재임 종료: 1584년
이전 총독: 막시밀리앙 드 에냉-리에타르
다음 총독: 아돌프 판 니우에나르
결혼 정보
배우자에흐몬트의 안나 (1551년 결혼, 1558년 사망)
안나 판 작센 (1561년 결혼, 1571년 이혼)
샬럿 드 부르봉 (1575년 결혼, 1582년 사망)
루이즈 드 콜리니 (1583년 결혼)
자녀마리아 판 나사우 여백작
필립 빌럼 판 오라녜
마리아 판 나사우 여백작
안나 판 나사우 여백작
안나 판 나사우
마우리츠 아우구스트 필립 판 나사우
마우리츠 판 나사우
에밀리아 판 나사우
루이제 율리아나 판 나사우
엘리자베트 판 나사우
카타리나 벨히카 판 나사우
샬럿 플란드리나 판 나사우
샬럿 브라반티나 판 나사우
에밀리아 안트베르피아나 판 나사우
프레데리크 헨드리크 판 오라녜
군사 정보
참전 전투이탈리아 전쟁 (1551년~1559년)
메츠 공방전
생캉탱 전투
80년 전쟁
조두아뉴 전투
르 케스노이 전투
미델뷔르흐 공방전
레이던 공방전
델프트 전투
기타 정보
관련 링크빌럼 판 오라녜 (네덜란드 역사)
빌럼 판 오라녜는 어떻게 국부(國父)가 되었나?

2. 어린 시절

독일 나사우에 있는 딜렌부르크 성, 빌럼이 태어난 곳


빌럼 1세는 1533년 4월 24일 신성 로마 제국(현재 독일 헤센 주) 나사우딜렌부르크 백국 딜렌부르크 성에서 나사우지겐 백작 빌럼 1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율리아나 폰 슈톨베르크 백작 부인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빌럼의 아버지는 이전 결혼에서 왈부르가 폰 에그몬트와 사이에 한 명의 자녀를 두었고, 그의 어머니는 이전 결혼에서 필립 2세와 사이에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빌럼의 부모는 함께 12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빌럼은 그중 장남으로 남동생 네 명과 여동생 일곱 명이 있었다. 빌럼의 가족은 종교적으로 독실했고 루터교 신앙으로 자랐다.[59]

1544년, 빌럼의 사촌인 르네 드 샬롱 오라녜 공작이 생디지에 공성전에서 사망했다. 르네는 유언에서 빌럼을 그의 모든 재산과 작위(오라녜 공작 작위 포함)의 상속자로 지명하면서 로마 가톨릭 교육을 받을 것을 조건으로 걸었다. 빌럼의 아버지는 11살 된 아들을 대신하여 이 조건에 동의했고, 이것이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시작이었다. 빌럼은 오라녜 공국(현재 프랑스에 위치)과 독일의 상당한 영토 외에도 저지대(오늘날 네덜란드벨기에)의 광대한 영지를 상속받았다. 빌럼의 어린 나이 때문에 이 영지 대부분의 봉건적 지배자인 카를 5세 황제는 섭정을 하지 않았다.

빌럼은 저지대에서 가톨릭 교육을 받았는데, 처음에는 가족의 브레다 영지에서, 나중에는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총독(17개 주)인 헝가리의 마리아 황제의 여동생의 감독하에 브뤼셀에서 교육받았다. 브뤼셀에서 그는 외국어를 배우고 그랑벨 추기경의 형제인 제롬 페르노 드 샹파니의 지휘 아래 군사 및 외교 교육을 받았다.[5]

3. 스페인에 대한 저항

카를 5세의 총애를 받던 빌럼은 1555년 카를이 아들 펠리페 2세에게 저지대를 양위할 때 그의 곁을 지켰다. 1559년 펠리페 2세는 빌럼을 홀란트, 제일란트, 위트레흐트 총독으로 임명하여 그의 정치적 권한을 크게 강화했고,[8] 1561년에는 프랑슈-콩테 총독직도 추가되었다.

3. 1. 프로테스탄트의 확산과 펠리페 2세의 탄압

1559년 펠리페 2세는 빌럼을 홀란트, 제일란트, 위트레흐트 총독으로 임명했다.[8] 빌럼은 펠리페 2세의 프로테스탄트 탄압 정책에 반대하며, 종교의 자유를 옹호했다. 1561년경부터 빌럼은 브뤼셀 정부를 공공연하게 반대하기 시작했는데, 당시 브뤼셀 정부는 섭정인 파르마 공작부인 마르가리타의 조언자였던 그랑벨이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저항의 원인 중 당초 종교적인 문제는 크지 않았으나, 프로테스탄트 사상이 확산되고 펠리페 2세가 가톨릭 정통주의에서 벗어나는 것을 용인하지 않으면서 종교가 심각한 문제로 부상했다.

인문주의자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의 영향을 받은 빌럼과 제휴 세력들은 종교 문제에 있어서 국민 대다수와 입장이 같았는데, 이들은 관습적으로 가톨릭을 신봉했지만 종교 박해에는 분개했다. 1558년 아내를 잃은 빌럼은 1561년 8월 25일 작센의 안나와 재혼하여 루터교 및 독일과의 관계를 굳혔다.[61][62]

빌럼은 국무회의 연설을 통해 종교 통일은 실현 불가능하며 군주가 백성들의 양심을 지배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주장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1565년 10월 펠리페 2세는 이단 처벌 법령을 예외 없이 시행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상황은 위기 국면으로 치달았다. 펠리페 2세에 맞선 세력에서는 하급 귀족과 젠트리들이 주도권을 잡았는데, 이들 중 일부는 칼뱅주의자였다. 이들은 유력자들보다 극단적이었고 폭력을 동원하는 것도 꺼리지 않았다. 이들과 그 추종 세력들은 곧 '거지들'(Gueux)로 불렸다.



스페인 국왕에 직접적으로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빌럼은 호른 백작 필립 드 몽모렌시(Philip de Montmorency, Count of Hoorn)와 에그몽트 백작 라모랄(Lamoral, Count of Egmont)과 함께 국무원에서 가장 두드러진 반대파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들은 주로 베를레이몽 백작, 그랑벨(Granvelle)과 아이타의 비글리우스(Viglius of Aytta)의 사실상 정부에 맞서 자신들의 정치적 권력을 더 확보하고자 했으며, 네덜란드 귀족과 명목상으로는 주(州)를 위해서도 더 많은 권력을 추구했고, 네덜란드 통치에 너무 많은 스페인 사람들이 관여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빌럼은 네덜란드에서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박해가 증가하는 것에도 불만을 품었다. 루터교도로 자란 후 가톨릭교도가 된 빌럼은 매우 종교적인 사람이었지만, 여전히 모든 사람들의 종교의 자유를 옹호했다. 새로운 총독 파르마의 마르가레트(Margaret of Parma)(1522–1583, 필리프 2세의 이복 여동생)의 수상인 그랑벨 추기경이 지휘하는 네덜란드의 종교 재판의 활동은 당시 대부분 가톨릭이었던 네덜란드 인구 사이에서 스페인 통치에 대한 반대를 증가시켰다.

3. 2. 저항의 시작과 확산

1565년 10월 펠리페 2세는 이단 처벌 법령을 예외 없이 시행하라는 단호한 명령을 내려, 상황은 점점 더 위기로 치달았다. 펠리페 2세에 맞선 세력에서는 하급 귀족과 젠트리들이 주도권을 장악했는데, 이들 가운데 일부는 칼뱅주의자였다. 이들은 유력자들보다도 더욱 극단적이었으며, 폭력을 동원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꺼리지 않았다. 이들과 그 추종 세력들은 곧 '거지들'(Gueux)로 불리게 되었다. 빌럼은 나사우 백작이며 칼뱅주의 학문을 갖춘 루터교도인 동생 나사우의 로데웨이크를 통해 개인적으로 이 운동에 관여했다. 빌럼은 무장 행동을 취하지 말고,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부당한 칙령의 시행을 유예하도록 섭정인 마르가리타에게 청원하라고 저항 세력을 설득했다.[18] 그러나 마르가리타가 개신교 억압 칙령들을 다소 완화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분쟁을 피하기에는 너무 때가 늦었다. 1566년 8월, 경제적 침체에서 오는 빈곤은 저지대 지역을 뒤흔들어 개신교 신자들로 하여금 맹렬하게 저항하도록 했다.

빌럼 야콥스존 델프의 침묵의 빌헬름 초상화 (세부 사항) (1623)


1572년 4월 1일, 바터괴이젠("바다의 거지들")으로 알려진 집단이 스페인 수비대가 방치한 브리엘시를 점령했다. 그들은 평소의 "치고 빠지기" 전술과 달리 도시를 점령하고 도시 위에 오렌지 공의 깃발을 꽂아 그 도시를 공작의 소유로 선포했다.[20] 이 사건 이후 다른 도시들도 바터괴이젠에게 문을 열었고, 곧 홀란트와 젤란트의 대부분 도시가 반란군의 손에 들어갔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암스테르담과 미델부르크였다. 반란 도시들은 ''네덜란드 총독회'' 회의를 소집(기술적으로 자격이 없었음)하여 빌헬름을 홀란트와 젤란트의 총독으로 복직시켰다.

동시에 반란군은 데번터에서 몽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의 도시들을 점령했다. 빌럼 자신도 자신의 군대와 함께 진격하여 뢰르몬트와 뢰번을 포함한 남부 여러 도시로 진격했다. 빌럼은 위그노들의 개입을 기대했지만, 8월 24일 성 바르톨로메오 학살 이후 위그노에 대한 폭력의 물결이 시작되면서 이 계획은 실패했다. 스페인군의 성공적인 공격 이후 빌헬름은 도망쳐 홀란트의 엔크휘젠으로 후퇴했다. 스페인은 그 후 대응책을 마련하여 여러 반란 도시들을 약탈했고, 때로는 메헬렌이나 즈트펜과 같이 주민들을 학살하기도 했다. 그들은 7개월 만에 8,000명의 병사를 잃고 하를렘을 함락시킨 홀란트의 도시들과 더 어려움을 겪었고, 알크마르 포위 공격을 중단해야 했다.

1573년, 빌헬름은 칼뱅파에 가입했다.[21] 그는 칼뱅파 신학자 장 타팡(1573~1581)을 궁정 설교자로 임명했다. 타팡은 나중에 피에르 루아즐뢰르 드 빌리에르(1577~1584)와 합류했는데, 그는 공작의 중요한 정치 고문이 되기도 했다.

스티븐 알론조 쇼프의 침묵의 빌헬름 판화


1574년, 빌헬름의 군대는 여러 해전을 포함한 여러 소규모 전투에서 승리했다. 무커헤이더 전투에서의 결정적인 승리는 빌헬름의 두 형제인 루이와 헨리의 목숨을 앗아갔다. 레케센스의 군대는 또한 라이덴시를 포위했다. 네덜란드인들이 근처 제방을 붕괴시키자 포위 공격을 중단했다. 빌헬름은 승리에 만족했고, 북부 주에서 최초의 대학교인 라이덴 대학교를 설립했다.

1575년 브레다에서의 평화 협상이 실패한 후 전쟁은 계속되었다. 1576년 3월 레케센스가 갑자기 사망하고, 수개월 동안 봉급을 받지 못한 스페인 병사들이 그해 11월 반란을 일으켜 앤트워프를 "스페인의 격노"로 약탈하면서 반란군에게 엄청난 선전 효과를 가져다주었을 때, 반란군에게 상황이 호전되었다. 새로운 총독 오스트리아의 돈 후안이 오는 동안, 오렌지 공 빌헬름은 대부분의 주와 도시들이 스페인군의 추방을 위해 함께 싸울 준비가 되어 있음을 선언한 겐트의 화의에 서명하도록 했다. 그러나 그는 종교 문제에 있어서는 통일을 이루지 못했다. 가톨릭 도시와 주는 칼뱅파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았다.

1577년 2월 영구 칙령에 서명하면서 겐트의 화의 조건을 준수할 것을 약속했을 때, 전쟁은 반란군에게 유리하게 결정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1577년 돈 후안이 남르시를 점령하자 봉기가 네덜란드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돈 후안은 평화 협상을 시도했지만 공작은 의도적으로 협상이 실패하도록 했다. 1577년 9월 24일, 그는 수도인 브뤼셀에 개선 입성했다. 동시에 칼뱅파 반군은 더욱 과격해져서 자신의 지배 지역에서 가톨릭교를 금지하려고 시도했다. 빌헬름은 개인적, 정치적 이유로 이에 반대했다. 그는 종교의 자유를 원했고,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덜 과격한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의 지지를 필요로 했다. 1579년 1월 6일, 빌헬름의 과격한 추종자들에게 불만을 품은 남부 여러 주가 아라스 조약에 서명하여 가톨릭 총독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돈 후안의 후계자)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

나중에 브라반트와 플랑드르의 대부분 도시들이 따랐던 5개의 북부 주는 1월 23일 유트레히트 동맹에 서명하여 통일을 확인했다. 빌헬름은 처음에는 모든 주를 통합하기를 바랐기 때문에 동맹에 반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5월 3일 공식적으로 지지를 표명했다. 유트레히트 동맹은 나중에 사실상의 헌법이 되었고, 1797년까지 네덜란드 주들 사이의 유일한 공식적인 연결 고리가 되었다.

4. 네덜란드 독립 전쟁

칼뱅주의 신도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 침입해 성상을 부수고 시설을 파괴했다. 이들이 성상파괴운동을 한 이유는 이들이 보기에 우상인 성상을 파괴함으로써 교회를 정화하고자 함이었다.[63] 이들의 행동은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평화공존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스페인 지배에 반대하는 세력은 로마 가톨릭 교회 수호의 필요성을 느껴 힘을 잃어갔다. 또한, 펠리페 2세는 폭력으로써 개신교와 네덜란드 개신교가 일으킨 반란을 단번에 분쇄하려 시도하게 되었고, 1566년 12월 알바 공작을 네덜란드 총사령관에 임명했다.

빌럼이 네덜란드의 새로운 군주로 영입한 앙주 공작은 대중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얻지 못했다.


1580년 3월, 필립은 오라녜 공작에 대한 왕실의 파문령을 발표하고, 그를 죽이는 데 성공하는 자에게 25000crown의 현상금을 약속했다. 빌럼은 자신의 행동을 변호하고, 스페인 국왕을 맹렬하게 비난하며, 자신의 개신교 신앙을 재확인하는 문서인 ''변명(Apology)''으로 답했다.[22]

한편, 빌럼과 그의 지지자들은 외국의 지원을 모색했다. 프랑스의 앙리 3세의 동생인 앙주 공작 프랑수아의 지지를 얻는 데 성공했고, 1580년 9월 29일, 젤란드와 홀란드를 제외한 제네럴 주는 앙주 공작과 플레시-레-투르 조약을 체결했다. 공작은 "네덜란드 자유의 수호자"라는 칭호를 얻고 새로운 군주가 될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스페인 국왕에 대한 공식적인 지지를 포기하는 것을 요구했다.

1581년 7월 22일, 제네럴 주는 폐위 선언에서 더 이상 스페인의 펠리페 2세를 통치자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이 공식적인 독립 선언은 앙주 공작이 저항자들을 돕도록 했다. 1582년 2월 10일, 플뤼싱에서 빌럼에게 공식적으로 환영받았다. 3월 18일, 스페인인 후안 데 하우레기가 앤트워프에서 빌럼을 암살하려고 시도했으나, 빌럼은 심한 부상을 입었지만 살아남았다. 빌럼이 서서히 회복하는 동안, 그의 아내 샬럿은 집중적인 간호로 지쳐 5월 5일에 사망했다. 앙주 공작은 인구에게 별로 인기가 없었다. 젤란드와 홀란드 지방은 그를 통치자로 인정하기를 거부했고, 빌럼은 그의 "프랑스 정치"에 대해 널리 비판받았다.

1582년 말 앙주의 프랑스 군대가 도착했을 때, 네덜란드가 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파르마 공작조차 두려워했기 때문에 빌럼의 계획은 성공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앙주 자신은 자신의 제한된 권력에 불만을 품고 비밀리에 무력으로 앤트워프를 장악하기로 결정했다. 제때 경고를 받았던 시민들은 1583년 1월 18일, 도시에 진입하는 앙주와 그의 군대를 매복했다. 이것은 "프랑스의 격노"로 알려져 있다. 앙주의 부하들은 거의 모두 죽었고, 그는 카트린 드 메디시와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 양쪽 모두에게 질책을 받았다. 앙주의 입지는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었고, 그 후 6월에 그 나라를 떠났다. 그의 출국은 앙주를 계속 지지했던 빌럼을 불신하게 만들었다. 빌럼은 이 문제에 대해 사실상 혼자 서서 정치적으로 고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홀란드와 젤란드는 그를 총독으로 유지했고, 그를 홀란드와 젤란드 백작으로 선포하여 공식적인 군주로 만들려고 시도했다.

이 모든 와중에 빌럼은 1583년 4월 12일 루이즈 드 콜리니와 결혼했다. 그녀는 프랑스 위그노이며 가스파르 드 콜리니의 딸이었다. 그녀는 빌럼의 아들 프레데릭 헨드릭 (1584~1647)을 낳았다. 그는 "빌럼 아버지"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프린센호프에 정착하여 단순한 네덜란드 부르주아처럼 살았다.

4. 1. 초기 저항과 고난

빌럼은 펠리페 2세에게 충성을 맹세했으나, 펠리페 2세가 모든 관리들에게 요구한 무조건적인 복종 서약은 거절하고 1567년 4월 딜렌부르크 가문의 영지에 칩거했다. 수천 명이 빌럼의 행동을 따르거나 영국, 독일, 프랑스로 탈출했다.[64]

이 시기에 종교보다 자유가 더 시급한 상황이 되면서, 스페인의 지배를 반대하는 기운이 확산되었다. 빌럼은 네덜란드 주민의 해방자로 일어서면 봉기가 일어날 것이라 기대하며 군사행동을 주저하지 않았다. 1568년 4월 저지대 지역에 대한 두 차례의 침공이 시작되었으나 모두 실패했다. 빌럼은 브라반트로 진격했으나, 겨울과 군자금 부족으로 프랑스로 퇴각해야 했다.[64] 이 작전은 실패했지만, 빌럼의 이름을 억압에 저항하는 기수로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칼뱅주의자들은 1566년 당시 빌럼이 자신들을 무력 지원하지 않았던 것을 용서했으며, 빌럼 역시 칼뱅주의자들이 저항운동의 핵심세력인 점을 높이 평가하여 관계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빌럼이 개혁교회에 합류한 것은 1573년이 되어서였다.[65]

이 시기는 빌럼에게 가장 암울한 때였다. 알바 공작이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고, 빌럼은 동생과 많은 친구들을 잃었으며, 아들까지 빼앗겼다. 영지와 관직도 잃었으며, 재정적 곤란과 함께 아내인 안나마저 변덕스러운 행동으로 그를 괴롭혔다. 안나와는 1571년 이혼했다.

빌럼의 군사작전은 주로 '고이젠'들의 영웅적인 활약에 의존했다. 고이젠은 해상 봉쇄 활동을 통해 네덜란드에 경제적 어려움을 가져다주었고, 알바 공작의 가혹한 통치로 불만 세력은 더욱 늘어났다. 1572년 4월 1일, 고이젠 함대가 자위트홀란트에 있는 브릴레 항을 기습 점령하고 오라녜 공의 깃발을 세웠다.[66] 이들의 성공은 홀란트와 제일란트에서 대중봉기를 촉발시켰으며, 대부분의 도시가 빌럼 지지를 선언했다. 7월 무렵에는 암스테르담미델뷔르흐를 비롯해 제일란트의 다른 두 도시만이 스페인 국왕의 수중에 있었다.

4. 2. 북부 지역의 저항과 위트레흐트 동맹

1573년 가톨릭 미사가 금지되었다.[65] 빌럼은 1575년 7월 홀란트의 여러 지역을, 1576년 4월에는 홀란트와 제일란트를 더욱 긴밀하게 결합시켰고, 전쟁 중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았다.[65] 그러나 미사의 자유는 확실히 금지되었지만, 신앙의 자유는 인정되었다.[65]

새롭게 연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파르마 공작은 네덜란드 남부 대부분을 재정복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아라스 조약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 스페인군을 철수시키기로 합의했고, 필립 2세도 다른 곳에 군대가 필요했기에, 파르마 공작은 1581년 말까지 더 이상 진격할 수 없었다.

1579년, 빌럼은 북부 7개 주를 결속한 위트레흐트 동맹을 결성했다. 위트레흐트 동맹은 사실상 네덜란드 공화국의 헌법이 되었다.

4. 3. 독립 선언과 빌럼의 암살

1581년 7월 22일, 북부 주들은 폐위 선언을 통해 더 이상 스페인의 펠리페 2세를 통치자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이는 독립 선언으로 이어졌으며, 앙주 공작이 저항 세력을 돕도록 했다.[22]

발타사르 제라르가 빌럼 1세를 사격하는 모습


델프트의 프린센호프에 있는 당시의 총알 자국


펠리페 2세의 지지자였던 프랑스의 가톨릭 신자 발타자르 제라르는 오라녜 공 빌럼이 스페인 왕과 가톨릭 교회를 배반했다고 생각했다. 펠리페 2세가 빌럼에게 현상금을 내걸자, 제라르는 그를 암살하기 위해 네덜란드로 떠났다.[23] 1584년 7월 10일, 제라르는 델프트에 있는 빌럼의 자택인 프린센호프에서 저녁 식사를 마치고 계단을 내려오던 빌럼의 가슴에 권총을 쏘아 암살했다.[24] 공식 기록에 따르면 빌럼의 유언은 다음과 같다.[24]

제라르는 고문을 당한 후 7월 13일에 사형당했다.[25]

빌럼의 시신은 델프트 신교회에 매장되었다. 이전까지 나사우 가문의 묘는 브레다에 있었으나, 당시 브레다가 스페인에 점령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택이 있던 델프트에 매장된 것이다. 이후 오라녜나사우 왕가의 왕족은 델프트 신교회에 묻히게 되었다.[26]

빌럼 1세의 묘

5. 암살 이후

빌렘 1세 사후, 그의 아들들과 후손들은 오라녜 공 작위와 총독 직을 계승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레데릭 헨드릭의 아들 빌렘 2세가 그의 뒤를 이어 총독이 되었고, 그의 아들 빌렘 3세도 총독이 되었다. 빌렘 3세는 1689년부터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 되었다. 그는 메리 2세와 17년 동안 결혼했지만, 1702년 자녀 없이 사망했다. 그는 사촌 요한 빌렘 프리고(빌렘 1세의 증조증손자)를 오라녜 공의 후계자로 임명했다. 나사우의 알베르티네 아그네스(프레데릭 헨드릭의 딸)와 나사우-디츠의 빌헬름 프리드리히의 결혼으로, 현재 네덜란드 왕가는 여성 계보를 통해 빌렘 침묵왕으로부터 이어진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오라녜 왕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빌렘 1세는 네덜란드의 많은 국가 상징의 기원이 되었다.


  • 그는 네덜란드 왕실의 조상이다.
  • 네덜란드 국기(적백청)는 오렌지색, 흰색, 파란색이었던 공작의 깃발에서 유래되었다.
  • 네덜란드 국장은 빌렘 1세의 국장을 기반으로 한다. 그의 좌우명인 "Je maintiendrai"(프랑스어, "나는 유지할 것이다")는 빌렘 1세가 그의 사촌 샤롱의 르네가 사용한 "Je maintiendrai Chalon"을 기반으로 사용한 것이다.
  • 네덜란드의 국가인 ''빌헬무스''는 원래 빌렘 1세를 위한 선전 노래였다. 아마도 그의 지지자인 생트 알드고네드 영주 필립스 판 마르닉스가 작곡했을 것이다.
  • 네덜란드의 국가 색상은 오렌지색이며, 네덜란드 선수들의 의류 등에 사용된다.
  • 1702년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설립된 프로이센의 흑색 독수리 훈장은 그의 어머니인 나사우의 루이제 앙리에테(빌렘 침묵왕의 손녀)를 기리기 위해 오렌지색 띠를 가지고 있었다.


빌렘 1세에 대한 다른 기념물은 다음과 같다.

  • 빌렘 침묵왕 동상은 1928년 뉴저지주 뉴브런즈윅에 있는 미국 개혁 교회의 뉴브런즈윅 신학교 맞은편 럿거스 대학교의 주 캠퍼스에 세워졌다. 이는 1766년 네덜란드 개혁 교회 목사들에 의해 설립된 대학교의 유산을 기리기 위함이다. 이 동상은 학생들과 졸업생들에게 일반적으로 "침묵의 윌리" 또는 "침묵의 빌"로 알려져 있으며, 빌렘을 "조국의 아버지"라고 언급하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28][29]
  • 빌렘 침묵왕의 또 다른 동상은 1908년 독일 비스바덴 마르크트키르헤 앞에 세워졌다. 이 동상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된 베를린 궁전 앞에 있는 발터 쇼트의 원본 동상을 복제한 것이다.
  • 2008년 1월, 소행성 12151 Oranje-Nassau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0]

5. 1. 마우리츠의 계승과 독립 전쟁 지속

빌렘 1세의 장남 필립 빌헬름이 오라녜 공을 계승했지만, 스페인에 인질로 잡혀 있었다. 이에 빌렘 1세의 차남 마우리츠가 요한 판 올덴바르네벨트의 제안과 레스터 백작에 대한 견제를 위해 총독이자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7] 필립 빌헬름은 1618년 2월 20일 브뤼셀에서 사망했고, 마우리츠가 오라녜 공이 되었다.

뛰어난 군사 지도자였던 마우리츠는 스페인을 상대로 여러 차례 승리했다. 올덴바르네벨트는 마우리츠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1609년 네덜란드에 매우 유리한 12년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마우리츠는 과음으로 인해 1625년 4월 23일 간 질환으로 사망했다. 그는 마르가레타 판 메헬렌과의 사이에 여러 아들을 두었지만, 정식으로 결혼하지는 않았다. 빌렘 1세의 막내아들 프레데릭 헨드릭이 오라녜 공작 작위를 계승하여 스페인과의 전투를 계속했다. 프레데릭 헨드릭은 1647년 3월 14일에 사망하여 아버지 빌렘 "침묵공"과 함께 델프트의 니우웨 케르크에 묻혔다.[27] 네덜란드는 1648년 뮌스터 조약으로 공식 독립했다.

5. 2. 네덜란드 공화국의 발전과 국제적 인정

빌럼 1세 사후, 그의 아들 마우리츠는 요한 판 올덴바르네벨트의 제안으로 총독이자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마우리츠는 뛰어난 군사 지도자로 스페인과의 전투에서 여러 승리를 거두었으며, 1609년에는 네덜란드에 유리한 12년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27] 프레데릭 헨드릭은 스페인과의 전투를 계속 이어나갔고, 1648년 뮌스터 조약을 통해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았다.[27]

빌럼 1세는 네덜란드 독립 초기의 주요 재정가, 정치 및 군사 지도자였으며, 독일 출신으로 프랑스어를 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의 국민 영웅으로 여겨진다.[27] 19세기 네덜란드는 입헌군주국이 되었으며, 현재 국가 원수인 빌럼 알렉산더르는 빌럼 1세의 방계 후손이다. 빌럼 1세 이후 모든 총독은 그의 직계 혹은 방계 후손이었다.[27]

6. 유산



빌럼 1세는 나사우 가문의 묘지인 브레다가 아닌 델프트 신교회에 매장되었다. 이는 그가 사망할 당시 브레다가 왕실의 통제 하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무덤에 있는 기념비는 원래 소박했지만, 1623년 헨드릭 더 케이서(Hendrik de Keyser)와 그의 아들 피터에 의해 새 기념비로 교체되었다. 이후 오라녜-나사우 왕가(House of Orange-Nassau)의 대부분 구성원들과 모든 네덜란드 국왕들이 같은 교회에 매장되었다. 그의 증손자인 빌럼 3세는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에 매장되었다.[27]

빌럼 1세는 네덜란드 독립의 아버지이자 국부로 칭송받고 있으며, 네덜란드 국가인 ''빌헬무스''는 그의 명예를 위해 작곡되었다.[34] 그의 용기와 헌신은 네덜란드 국민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정신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빌럼 1세에게서 유래하는 네덜란드의 국가 상징은 다음과 같다.


  • 그는 네덜란드 왕실의 조상이다.
  • 네덜란드 국기(적백청)는 오렌지색, 흰색, 파란색이었던 공작의 깃발에서 유래되었다.
  • 네덜란드 국장은 빌럼 1세의 국장을 기반으로 한다. 그 모토인 "Je maintiendrai"( Je maintiendrai프랑스어, "나는 유지할 것이다")는 빌럼 1세가 사용했는데, 그의 사촌 샤롱의 르네가 사용한 "Je maintiendrai Chalon"을 기반으로 했다.
  • ''빌헬무스''는 원래 빌럼 1세를 위한 선전 노래였으며, 생트 알드고네드 영주 필립스 판 마르닉스가 작곡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네덜란드의 국가 색상은 오렌지색이며, 네덜란드 선수들의 의류 등에 사용된다.
  • 1702년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설립된 프로이센의 흑색 독수리 훈장은 그의 어머니인 나사우의 루이제 앙리에테(빌렘 침묵왕의 손녀)를 기리기 위해 오렌지색 띠를 가지고 있었다.


빌럼 1세에 대한 다른 기념물은 다음과 같다.

  • 빌렘 침묵왕 동상은 1928년 뉴저지주 뉴브런즈윅에 있는 미국 개혁 교회의 뉴브런즈윅 신학교 맞은편 럿거스 대학교 주 캠퍼스에 세워졌다. 이 동상은 학생들과 졸업생들에게 "침묵의 윌리" 또는 "침묵의 빌"로 알려져 있으며, 빌럼을 "조국의 아버지"라고 언급하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28][29]
  • 빌렘 침묵왕의 또 다른 동상은 1908년 독일 비스바덴 마르크트키르헤 앞에 세워졌다. 이 동상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된 베를린 궁전 앞에 있는 발터 쇼트의 원본 동상을 복제한 것이다.
  • 2008년 1월, 소행성 12151 Oranje-Nassau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0]


"침묵의 빌헬름"이라는 칭호는 프랑스의 앙리 2세와 나눈 대화에서 보여준 그의 신중함과 관련이 있다는 설명이 가장 흔하다. 뱅센느 숲에서 사냥을 하던 중, 앙리 2세는 빌럼 1세에게 이교도 근절을 위한 비밀 협정을 알고 있다고 확신하며 말했지만, 빌럼 1세는 교묘하게 대답하여 왕에게 자신이 계획을 알고 있다는 인상을 남겼다. 이를 통해 왕은 계획의 모든 세부 사항을 밝혔다고 한다.[31]

"침묵의"라는 별명이 언제 처음 사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전통적으로 그랑벨 추기경이 1567년경 빌헬름을 "침묵하는 자"라고 언급했다고 전해진다. 이 별명과 관련된 일화는 17세기 초 역사 자료에서 처음 발견된다.[32][33]

7. 가족 관계

빌럼 1세는 평생 동안 네 번 결혼했다.


  • 1551년, 안나 폰 에그몬트와 첫 번째 결혼을 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나, 안나는 1558년에 사망했다.
  • 1561년, 작센의 안나와 두 번째 결혼을 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 이 결혼은 1571년에 파경을 맞았고, 안나는 1577년에 사망했다.
  • 1575년, 샤를로트 드 부르봉과 세 번째 결혼을 하여 여섯 명의 딸을 두었다. 샤를로트는 1582년에 사망했다.
  • 1583년, 루이즈 드 콜리니와 네 번째 결혼을 하여 아들 프레데릭 헨드릭을 낳았다. 프레데릭 헨드릭은 빌럼 1세의 아들 중 유일하게 자녀를 낳아 왕가를 계승했다.


빌럼 1세는 결혼 외에도 에바 엘린크스와의 사이에서 사생아 저스티누스 반 나사우를 두었는데, 공식적으로 자신의 아들로 인정하고 그의 교육에 책임을 졌다. 저스티누스는 훗날 제독이 되었다.[38][39]

7. 1. 첫 번째 결혼: 에그몬트의 안나



1551년 7월 6일, 부렌 성에서 18세의 빌럼은 18세의 부유한 상속녀인 안나 폰 에그몬트 앤 부렌과 결혼했다. 이를 통해 빌럼은 에그몬트 영주와 부렌 백작의 작위를 얻었다.[43] 두 사람은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고 세 자녀를 두었다. 그들의 아들인 필립 빌헬름은 빌럼의 뒤를 이어 공작이 되었다. 안나는 1558년 3월 24일에 사망하여 빌럼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다.[43]

안나의 사망 몇 년 후, 빌럼은 평민인 에바 엘린크스와 짧은 관계를 맺었고, 그 사이에 사생아인 저스티누스 반 나사우가 태어났다.[38][39] 빌럼은 공식적으로 저스티누스를 자신의 아들로 인정하고 그의 교육에 책임을 졌다. 저스티누스는 성인이 된 후 제독이 되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에그몬트의 안나 (1551년 7월 6일 결혼; 출생: 1534년 추정, 사망: 1558년 3월 24일)
나사우 백작부인 마리아1553년 11월 22일1555년 7월 23일유아기에 사망.
오라녜 공 필립 빌헬름1554년 12월 19일1618년 2월 20일콩데의 엘레오노르와 결혼. 자녀 없음.
나사우 백작부인 마리아1556년 2월 7일1616년 10월 10일호엔로에-노이슈타인의 필립 백작과 결혼


7. 2. 두 번째 결혼: 작센의 안나

작센의 안나—아브라함 드 브뤼언(Abraham de Bruyn, 1566년)의 판화


1561년 8월 25일, 오라녜 공 빌럼 1세는 작센의 안나(Anna of Saxony)와 두 번째 결혼을 했다. 안나는 변덕스러웠으며, 빌럼이 작센, 헤세, 그리고 팔츠에서 더 많은 영향력을 얻기 위해 그녀와 결혼했다고 일반적으로 추정된다.[12] 두 사람 사이에는 두 아들과 세 딸이 있었다. 아들 중 한 명은 유아기에 사망했고, 다른 아들인 나사우의 모리스(Maurice of Nassau)는 훗날 아버지를 계승하여 총독이 되었다. 안나는 빌럼이 그녀를 버리고 그녀의 가족이 그녀를 성에 감금한 후 사망했다. 그 원인은 그녀가 변호사 얀 루번스(Jan Rubens)(유명한 화가 피터 폴 루번스(Peter Paul Rubens)의 아버지)와 간통을 저지르고 그에게서 딸을 낳았다는 혐의 때문이었다. 그녀가 죽기 전에 빌럼은 이미 세 번째 결혼을 발표했는데, 이는 간통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이 여전히 결혼한 상태였다고 주장한 그녀의 가족의 반감을 샀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작센의 안나' (1561년 8월 25일 결혼, 1571년 3월 22일 파혼; 출생: 1544년 12월 23일, 사망: 1577년 12월 18일)
나사우 백작부인 안나1562년 10월 31일출생 시 사망.
나사우 백작부인 안나1563년 11월 5일1588년 6월 13일나사우-딜렌부르크 백작 빌헬름 루트비히와 결혼
나사우 백작 모리스 아우구스트 필립1564년 12월 8일1566년 3월 3일유아기에 사망.
나사우 공 모리스
및 나사우 백작
1567년 11월 13일1625년 4월 23일미혼.
나사우 백작부인 에밀리아1569년 4월 10일1629년 3월 6일포르투갈의 마누엘 (포르투갈 왕위 계승자 크라토의 안토니오의 아들)과 결혼, 10명의 자녀 출산.


7. 3. 세 번째 결혼: 부르봉의 샤를로트

샤를로트 드 부르봉-몽팽시에


빌럼 1세는 1575년 6월 12일에 세 번째 결혼을 했다. 상대는 전직 프랑스 수녀였던 샤를로트 드 부르봉-몽팽시에였는데, 대중들에게도 인기가 많았다. 그들은 여섯 딸을 두었다. 서로 사랑하는 사이였던 것으로 보이는 이 결혼은 행복했다.[40] 1582년 암살 시도 후 남편을 간호하려 애쓰다가 샤를로트가 과로사했다는 주장이 있다.[40] 빌럼은 겉으로는 침착했지만, 그의 슬픔이 치명적인 재발을 초래할까 염려되었다. 샤를로트의 죽음은 널리 애도되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나사우 백작부인 루이제 율리아나1576년 3월 31일1644년 3월 15일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4세와 결혼, 8명의 자녀 출산. 그의 아들인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는 영국 왕 조지 1세의 조부가 됨.
나사우 백작부인 엘리자베트1577년 4월 26일1642년 9월 3일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튀렌 백작)와 결혼, 프레데리크 모리스 (부용 공작)과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튀렌 백작)을 포함한 자녀 출산.
나사우 백작부인 카타리나 벨지카1578년 7월 31일1648년 4월 12일하나우-뮌첸베르크의 필립 루트비히 2세 백작과 결혼.
나사우 백작부인 샤를로트 플란드리나1579년 8월 18일1640년 4월 16일수녀. 1582년 어머니가 사망한 후 프랑스 할아버지가 샤를로트 플란드리나를 데려가기를 요청했다. 그녀는 1593년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수녀원에 들어갔다.
나사우 백작부인 샤를로트 브라반티나1580년 9월 17일1631년 8월 31일클로드(투아르 공작)과 결혼, 샤를로트 드 라 트레무이유 (더비 백작 제임스 스탠리의 아내)를 포함한 자녀 출산.
나사우 백작부인 에밀리아 안트베르피아나1581년 12월 9일1657년 9월 28일프리드리히 카지미어(츠바이브뤼켄-란츠베르크 선제후)와 결혼.


7. 4. 네 번째 결혼: 콜리니의 루이즈

가스파르 드 콜리니의 딸인 루이즈 드 콜리니(Louise de Coligny)와 1583년 4월 12일에 결혼하여 프레데릭 헨드릭(1584~1647)을 낳았다.[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 프레데릭 헨드릭은 빌럼 1세의 아들 중 유일하게 자녀를 낳아 왕가를 계승했다.

참조

[1] 서적 William the Taciturn http://archive.org/d[...] Nelson & Phillips; [etc.]
[2] 웹로그 Once I was a clever boy http://onceiwasaclev[...]
[3] 웹사이트 Willem van Oranje https://www.canonvan[...] 2023-05-21
[4] 웹사이트 Hoe wordt Willem van Oranje vader des vaderlands? https://npokennis.nl[...] 2021-10-05
[5] 서적
[6] 문서 As of 1549, the Low Countries, also known as the "Seventeen Provinces" comprised the present-day Netherlands, Belgium, Luxembourg, and parts of northern France and Western Germany.
[7] 서적 Erflaters van onze beschaving http://www.dbnl.org/[...]
[8] 서적
[9] 서적 The Rise of the Dutch Republic http://www.gutenberg[...] Harper Brothers
[10] 서적 Mémoires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De Beeldenstorm
[14] 서적 Prefigurations of the future? The views on the boundaries of Church and State of William of Orange and Viglius van Aytta (1565–1566)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Mad Princes of Renaissance German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94
[20] 서적
[21] 서적 The Dutch Revolt
[22] 서적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Dutch Revolt 1555–1590
[23] 문서 De Vader des Vaderlands
[24] 문서 De laatste woorden van prins Willem
[25] 서적 The Rise of the Dutch Republic, Vol. 3 https://www.gutenber[...]
[26] 학술지 The pistol as assassination weapon: A case of technological lag https://doi.org/10.1[...] 1991-06-01
[27] 웹사이트 Nieuwekerk-Delft http://www.nieuweker[...]
[28] 웹사이트 Willie http://www.libraries[...] Rutgers University 2010-04-23
[29] 웹사이트 Father of His Fatherland, Founder of the United States of the Netherlands https://www.flickr.c[...] Yahoo! 2009-05-09
[30] 웹사이트 Planetoïde (12151) Oranje-Nassau http://www.xs4all.nl[...] Xs4all 2010-04-23
[31] 서적 William the Silent
[32] 문서 Willem de Zwijger http://dutchrevolt.l[...]
[33] 웹사이트 Verspreide geschriften. Deel 8. Kritische studiën over geschiedbronnen. Deel 2. Historische schetsen en boekbeoordeelingen. Deel 1. 'Willem de Zwijger (1864)' https://www.dbnl.org[...] 2022-12-28
[34] 문서 The song is named after the first word of the first line, Wilhelmus, a Latinised form of the prince's first name.
[35] 서적 O Canada: An American's Notes on Canadian Culture Farrar, Straus and Giroux 1963
[36] 논문 Het werkende woord. Het Adagium van Willem de Zwijger https://www.dbnl.org[...] 2022-05-08
[37] 서적 Mobile Commerce Over GSM: A Banking Perspective on Security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retoria 2004
[38] 서적 Adriaen Valerius, Nederlandtsche gedenck-clanck. http://www.dbnl.org/[...] Wereldbibliotheek 1942
[39] 웹사이트 letter from William of Orange to Diederik Sonoy http://www.inghist.n[...] 1582-07-16
[40] 서적 William the Silent https://archive.org/[...] Jonathan Cape
[41] 서적 The princes of Orange: the stadholders in the Dutch Republic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William I stadholder of United Provinces of The Netherlands https://www.britanni[...]
[43] 서적 William the Silent
[44] 서적 William the Silent
[45] 서적 William the Silent
[46] 서적 William the Silent
[47] 서적 William the Silent
[48] 서적 William the Silent
[49] 서적 William the Silent
[50] 서적 William the Silent
[51] 서적 William the Silent
[52] 서적 William the Silent
[53] 서적 William the Silent
[54] 서적 William the Silent
[55] 서적 William the Silent
[56] 서적 William the Silent
[57] 서적 William the Silent
[58] 서적 William the Silent
[59] 서적 The princes of Orange: the stadholders in the Dutch Republic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서적 William the Silent
[61] 서적 William the Silent
[62] 서적 De Beeldenstorm
[63] 웹인용 네덜란드 봉기와 성상파괴운동의 복잡한 진상에 대하여 http://charger07.egl[...] 2022-07-10
[64] 서적 William the Silent
[65] 서적 The Dutch Revolt
[66] 서적 William the Silent
[67] 서적 네덜란드 의회 의사록 1584-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